티스토리 뷰
보조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어 발화 및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항공 보안검색에서 엄격한 확인 절차를 거칩니다. 또한 반입 규정을 위반할 경우 벌금, 압수, 항공 탑승 거부 등의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보조배터리 보안검색 절차
보안검색은 공항 보안검색대(탑승 수속 후), 출국 심사 후, 탑승 직전 등 여러 단계에서 진행됩니다.
(1) 보안검색대에서의 절차
탑승 수속 후 보안검색을 통과할 때, 보조배터리는 휴대용 전자기기(스마트폰, 노트북)와 함께 별도로 검색대 바구니에
올려놓아야 합니다.
✅ 검색 과정
- X-ray 검사: 보조배터리는 다른 전자기기와 함께 X-ray 검사기를 통과합니다.
- 보안요원의 추가 확인 가능: X-ray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거나, 용량이 표시되지 않은 보조배터리는 보안요원이 별도로 검사합니다.
- 단락 방지 여부 확인: 단자가 오픈된 상태이거나 절연테이프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보관 상태를 확인합니다.
(2) 출국 심사 후 추가 보안검사 (일부 국가)
일부 국가(미국, 싱가포르, 일본, 중국 등)에서는 출국 심사 후 탑승 게이트에서 추가적인 보안검색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추가 검색 대상
- 고용량(100Wh 초과 160Wh 이하) 보조배터리 소지자
- X-ray 검사에서 명확한 용량 표시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
- 비정상적인 개조 흔적이 있는 배터리(외관 훼손, 개조된 단자 등)
(3) 탑승 직전 항공사 자체 보안검사 (일부 항공사 적용)
- 특정 항공사(싱가포르항공, 에미레이트항공 등)는 보조배터리 사용 금지 정책을 시행 중이므로 탑승 직전 추가 검색을 진행할 수 있음
- 기내에서 충전이 불가한 항공사(싱가포르항공, 에바항공, 타이항공 등)의 경우, 승무원이 직접 보조배터리 보관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음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위반 시 조치 사항
(1) 위반 내용 및 조치
✅ 1) 160Wh 초과 보조배터리 소지 시
- 위반 내용: 국제 항공법에 따라 160Wh 초과 리튬 배터리는 기내 반입 및 위탁 수하물 모두 금지
- 조치:
- 공항에서 압수 후 폐기 (보관 불가)
- 일부 공항에서는 즉시 폐기하지 않고 공항 내 물품 보관소에서 별도 보관 가능
- 탑승객이 출국 전 물품을 자진 폐기하면 추가 조치는 없음
- 반입을 강행할 경우 탑승 거부 및 벌금 부과 가능
✅ 2) 미승인 100Wh 초과 160Wh 이하 보조배터리 소지 시
- 위반 내용: 항공사 승인이 필요하지만 사전 승인 없이 반입한 경우
- 조치:
- 항공사 정책에 따라 승무원이 기내에서 압수 후 폐기할 수도 있음
- 일부 항공사는 배터리 반입 승인 후 별도 라벨(승인 스티커)을 부착해야 함
- 승무원의 지시를 거부할 경우 탑승 거부 조치 가능
✅ 3) 위탁 수하물(Checked Baggage)에 보조배터리 넣은 경우
- 위반 내용: 국제 항공법에 따라 보조배터리는 위탁 수하물에 넣을 수 없음
- 조치:
- 수하물이 컨베이어 벨트를 통과하는 X-ray 검사에서 적발되면 해당 가방을 별도 분리하여 소지자에게 전달
- 수하물에 넣은 배터리가 압수될 수도 있으며, 탑승객은 추가 검색을 받아야 함
- 배터리 제거 후 재검사를 받아야 수하물이 적재될 수 있음
✅ 4) 단락 방지 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
- 위반 내용: 배터리 단자를 절연하지 않은 상태로 반입한 경우
- 조치:
- 공항 보안요원이 직접 절연 조치(테이프 부착)를 요구할 수 있음
- 즉석에서 절연 조치를 하지 못하면 해당 배터리는 반입 금지 및 폐기 조치됨
- 국제 항공법에 따라 손상된 배터리는 무조건 폐기해야 함
✅ 5) 기내에서 보조배터리 충전 시도
- 위반 내용: 특정 항공사(싱가포르항공, 에바항공, 타이항공 등)에서는 기내에서 보조배터리 충전이 금지됨
- 조치:
- 승무원이 충전을 중단하도록 요청하며, 반복 위반 시 기내 보조배터리 압수 가능
- 일부 항공사는 규정 위반 승객에게 블랙리스트(탑승 제한) 조치를 취할 수도 있음
✅ 6) X-ray 검사에서 용량 확인 불가 (미표기 제품)
- 위반 내용: 보조배터리에 용량(Wh 또는 mAh, V)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
- 조치:
- 보안검색대에서 별도 검사 필요
- 기내 반입 허용 여부가 불분명할 경우 보조배터리 폐기 또는 추가 승인이 필요
보조배터리 규정을 준수하기 위한 팁
✅ 보조배터리 반입 시 준비해야 할 사항
- 배터리 용량 확인: 제조사 표기(Wh 또는 mAh & V) 확인 후 160Wh 초과 제품은 반입하지 않기
- 단락 방지 조치: 단자 부분을 절연 테이프로 감싸거나 지퍼백 등에 보관
- 위탁 수하물에 넣지 않기: 반드시 기내 수하물로 휴대
- 고용량 배터리는 사전 승인 필수: 100Wh 초과 160Wh 이하 배터리는 항공사 승인을 받아야 함
- 보조배터리 사용 가능 여부 확인: 일부 항공사(싱가포르항공, 에바항공 등)는 기내 충전이 금지됨
마무리
2025년부터 항공사들의 보조배터리 규정이 더욱 강화되면서, 반입 허용 용량을 확인하고, 사전 승인 절차를 거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공항 보안검색 과정에서 불필요한 지연이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반입 규정을 숙지하고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년 항공사별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및 주의사항
2025년 항공사별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및 주의사항
여행 시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전자기기 사용이 늘어나면서 보조배터리는 필수 아이템이 되었습니다.그러나 2025년 3월 1일부터 국내외 항공사들은 보조배터리의 기내 반입 및 사용에 대한 규정
graceel.co.kr